일 시: 2015년 7월 16일
구 간: 학수제 - 용호삼거리 - 통석교차로 - 숄튼고개 - 천애휴게소 - 고천삼거리 - 고천교차로 - 테인동헌 - 피향정 (12km)
전북 제6길(태인): 11km
그동안 “서해안도보여행”에 집중하다보니 삼남길이 뒤로 밀리고, 준비 작업을 하는 동안 1달 반이 지났다. 서울에서 원평을 오가는 직행버스가 없어서, 강남고속터미널에서 김제행 6시40분 버스로 3시간이 소요되었다. 김제에서 원평을 오가는 버스가 30분마다 있어 20여분을 기다린 끝에 군내버스에 올라 30여 분만에 원평터미널에 도착하니 10시 40분이다.
시작도 하기 전에 삼복더위의 가마솥열기가 대지를 녹이고 있다. 햇볕을 최대한 피하기 위해 챙 넓은 모자에 썬그라스로 무장을 하고, 태인을 향해 발걸음을 이어간다. 학수재 이정표에는 정읍 24km, 태인 10km라 표시하고 있다. 하지만 국도를 피해가는 삼남길이라 정읍까지 26km를 예상한다.
구월리 어유동에서 마을길로 들어선다. 무궁화와 나리꽃, 도라지와 감나무까지 시골정취가 물씬 풍긴다. 통석교차로에서 1번 국도를 횡단하여 舊 1번 국도를 따라 솥튼고개를 넘는다. 1번 국도는 터널 속으로 자취를 감추고, 천애휴게소가 있던 고갯마루에는 정읍시 광역화장장 시설공사가 한창이다.
험준한 산을 깎고 다듬어 완만한 포장길이 되었지만, 그 옛날 원평장에 소 팔러가던 장돌뱅이를 상대로 극성을 벌이던 도둑들의 소굴이었고, 동학농민군의 활동무대였다고 한다. 그 뿐이랴 청운의 꿈을 안고 넘든 선비들의 길이요, 당쟁에 밀려 귀양 가던 통한의 고개였을 것이다.
고개를 넘으면 옹동면이다. 화신공원 표지판을 지나 1번국도 토끼굴을 왼쪽으로 빠져나오면 통사- 송월- 작소 버스정류장이 있고, 송월육교 1번국도 토끼굴을 다시 빠져나와 농로를 걸으면 녹동마을 입구에 세연정(洗硯亭)이 있다.
탁한 마음을 깨끗하게 씻어내고 즐거운 마음으로 살아가는 안빈낙도(安貧樂道)의 마을인가. 먼 길을 돌아오는 나그네에게는 이보다 더한 안식처가 없다. 염치불구하고 정자로 올라선다. 이곳이 태인과 원평을 오가는 길목으로 洗硯岩에서 지친 몸을 쉬어가는 쉼터였으며, 동학혁명군의 進路여서 인근주민들이 합세했다는 이야기가 전해오고 있다.
1번 국도를 왼쪽에 두고 남진하던 삼남길이 고천교와 국도를 건너 태인으로 진입한다. 면소재지로는 규모가 작은 곳이다. 하지만 우리나라 유학의 시조인 고운 최치원선생이 태산군수를 역임하면서 유교문화가 융성했던 고을이다.
백제 때에는 太尸山郡으로, 신라에 와서 太山郡으로 부르고, 고려시대를 거쳐 조선에서는 불우헌(不憂軒) 정극인(丁克仁)이 향학당((鄕學堂)을 설치하였고, 縣監 영천자(靈川子) 신잠(申潛)이 사학(四學)을 설립하여 유학을 진흥시킨 고을이다. 이조말엽까지만 해도 정읍을 비롯하여 인의현 등 주변고을의 맹주였다.
유서 깊은 태인의 흔적이 곳곳에 남아 있다. 개교100년이 넘는 태인초등학교. 감흥로, 이강주와 함께 조선3대명주인 죽력고(竹瀝膏)를 생산하는 태인양조장은 4대째 가업을 이어오는 전통 양조장이다. 신라 말 고운 최치원 선생이 태인 현감으로 재직하면서 건축한 湖南第一亭인 피향정을 찾았다.
보물 289호인 피향정(披香亭)은 앞뒤로 上, 下 蓮池가 있어 경관이 수려하였으나, 상연지는 매립되어 주택가로 변하고 하연지만 남아 있다. 현재의 피향정은 이조 중엽에 건립된 건물로 2층 누각에 올라서면, 하연지와 함벽루(涵碧樓)가 한 폭의 그림처럼 아름답게 펼쳐진다.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121호인 태인향교는 1797년(정조 21)에 건립된 2층 건물로 정문에 걸린 만화루(萬化樓)의 어원은 ‘공자지도 만물화생(孔子之道 萬物化生)’이라는 데서 비롯한 것이라고 한다. 현판의 글씨는 1797년(정조 21) 태인 현감 조항진이 쓴 것으로 전해진다.
또한 이곳은 최익현의병장이 통솔하는 태인 의병들이 합숙하면서, 전력을 정비하던 곳이다. 의병장 최익현 선생은 을사늑약이 체결되자, 전북 태인으로 내려와 1906년 임병찬과 함께 무성서원에서 의병을 일으켜 태인읍을 점령하고, 정읍, 곡성, 순창까지 진격하며 눈부신 활약을 하였다.
원편 버스터미널
구월리 계봉마을
1번국도 횡단하여 만나는 원형교차로
솥튼고개정상 정읍 화장장 공사
녹동마을 세현정
왕세 아미타불 성묘
태인 양조장
'경기옛길: 삼남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북제8길: 갈재 (0) | 2015.07.18 |
---|---|
전북제7길: 동학혁명 발상지 (0) | 2015.07.18 |
견훤왕이 유폐 당한 금산사 (0) | 2015.05.30 |
전북5길: 원평 장터 (0) | 2015.05.30 |
전북4길: 김제평야 (0) | 2015.05.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