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나의 작품세계/양천문학 시화전

제3회 시화전: 시낭송. 2

 

 

 

 

 

                                  어제는 묻혀진 날이 아니다

                                                                                                                 신 종록

                              개구리는 올챙이 때를 모른다

                              어머니는 자식의 고향이어서 그리워지고

                              어제는 오늘의 고향이어서 역사를 배우는 것이다

                              실패는 성공의 어머니라고 했다

                              거기에 쓴맛의 가르침이 있어서다

                              어제가 있기에 오늘이 있고, 오늘위에 더 나은

                              내일이 기약되기에 어제는 결코 묻혀진 날이 아니다.

 

 

 

 

 

 

                                     지난 여름의 독서

                                                                                                          이 덕주

                             선풍기가 책장을 넘긴다

                             바람손이 스칠 때마다

                             빠르게 일어서는 글자들

                             그러다 눕고, 다시 일어서서

                             펄럭이는 행간

                             비키니여자가 실종되고

                             파도치는 밤의 암벽해안으로

                             개미 한 마리 기어든다

                             마침내 움직이는 상형문자가 된 개미

                             기막힌 속독으로

                             순식간에 책 한 권을 다 읽어버린 선풍기

 

                             미처 발견하지 못한

                             단 한 자의 의미.

 

 

 

 

                                             율 도

                                                                                                         서 영선

                                  철새들 뛰노는 평화스런 갈대밭

                                  바람도 별도 달도 품고 있는데

                                  세속의 넋두리에 잔잔하던 수면은

                                  여의도 방파제에 자취마저 감추고

                                  문명의 물결 속에 향수마저 지워진

                                  서울의 이방지대

 

                                  짧고 굵게 살다간 천사의 삶은

                                  초로의 뱃사공이 나루터에 애환을 심고

                                  강 건너 아파트 숲

                                  오늘의 삶이

                                  여의도 땅콩밭 모래사장은

                                  전설로 남아 있을 서울의 무속촌.

  

 

 

 

 

                                         동  행

                                                                                                     이 정희

                               서로 얼굴도 모르던 두 삶이

                               어느새 이마에는

                               깊이 패인 주름살 한 가득 채워지고

 

                               부딪히는 파도처럼

                               밀려드는 어둠처럼

                               달도 섧고 별빛도 서러워

                               피 끓어 넘치는

                               젊은 날의

                               청춘은 어디론가 사라지고

 

                               변하지 않는 마음으로

                               꼭 잡은 손길

                               운명이라 여기고

                               한평생을 하루같이 살아온

                               동행길

 

                               덧없이 흐르는 세월

                               욕심 없는 삶

                               부러울 것 없는 인생

                               은은한 들꽃 향기처럼

                               이것이 바로

                               참다운 아름다운 동행.

 

 

 

 

  

 

 

                                   

                                       이 시대의 사랑

                                                                                                                 이 장영

                               우리는 사랑을 하였다

                               자신이 그려논 테두리 속에서

                               그리고 남들이 바라는 형태로,

                               그 속에서 우리가 키우는

                               사랑의 장난감을 만지작거리며

                               신촌 거리를 헤매었다

 

                               굴다리 사이의 빛과 어둠

 

                               우리는 그 사이에서

                               짙은 독설을 내뱉었고,

                               길 위에 드러누었다

                               이 시대의 사랑의 의미와,

                               이 사랑이 지나는

                               단단한 껍질의 비순수성을 말하며,

                               그렇게 죽어갔다.

 

                               혹은

                               눈부신 5월이 햇빛 아래에서

                               먼지를 털며

                               거리를 질주하였다.

 

 

 

 

                                                            39도 5부

                                                                                                     이 정원

                              들숨도 열에 들떠 잉잉귀에 울고

                              먼 별빛 한 끝을 바라 초야처럼 숨죽이면

                              눈금은 한계선을 넘어 갈림길을 오간다.

 

                             가슴을 저며 놓는 그렁이는 눈물 받아

                             소름처럼 돋아나는 그리움 너는 알까

                             사랑니 덧나는 밤을 몰래 품어 앓는가.

 

 

 

 

 

                                          호  미

                                                                                                 임  병 현

                              들에 나가 일만 하시던

                              어머니의 손이

                              헛간에 걸려있다

 

                              맛있게 먹던 감자가

                              늙은 호미의

                              사랑인 줄 알았더라면

 

                              저렇게 부식되도록

                              바라보고만 있지 않았을 텐데

 

                              잡풀이 무성한 밭을 갈다가

                              흙 한 줌 움켜쥐고

                              사내자식이 그만

                              펑펑 눈물을 쏟고 말았다

 

                              어머니, 저는 불효자입니다!

 

 

 

 

                                          독도 등대

                                                                                                               정 창호

                              육지는 등 돌리고 동해 바다 국경

                              울릉읍에서 팔십사점 칠 킬로미터

                              머나먼 곳

                              독도는 살아 숨 쉬고 있다

                              풍요로운 바다 갈매기 황로가 춤추고

                              새들은 생존경쟁 마지막 생명 지키는

                              어머니의 사랑이 있는 곳

                              조상 대대로 우리 숨결이 어려 있는

                              동 서 우둑 솟은 외로운 섬

                              뱃길 인도하는 독도 등대

                              파도타고 바람 부는 어두운 밤

                              열린 하늘 밝은 신호를 보낸다

 

                              세월이 변해도역사가 바뀌어도

                              한국이 낳은 수천 년 역사를 이여

                              대한민국 경상북도 울릉군 울릉읍 독도

                              십팔만 칠천오백오십사 평방미터 작은 섬

                              수 만년 바위 위에 자리 잡고

                              말없이 우리 땅 임을 긍지를 가지고

                              오고 가는 여객선 인사 받으며

                              거센 바람과 파도 이겨내는

                              캄캄한 밤에도

                              별 하나 세면서 묵묵히 서 있다

 

                              푸른 하늘 마주치는 수평선 바라보며

                              독도는 대한민국 땅임을

                              힘차게 외친다.

                              경찰경비대의 철통같은 경계 속에

                              대한의 흙냄새 가슴 속 깊이 간직하고

                              산 바위 같은 험난한 파도 쳐도

                              모진 눈보라 쳐도 무적의 정신으로

                              나라를 사랑하는 일편단심

                              굳건히 조국을 지키고 있다

 

                              석양의 노을 끓은 태양 잠재우고

                              천연한 은하수 별빛 바라보며

                              어두운 밤 바다거울로 외로움 달랜다

                              하늘을 향한 조국의 발전을 멀리서 보면서

                              누가 무어라 해도

                              눈길 돌리지 않고

                              박애정신으로 몸이 달토록

                              천년만년 사랑의 빛을 비추리다.

 

 

 

  

 

 

                                               더하고 빼기

                                                                                                             허 정만

                                세상을 만나서

                                많은 시간 속에

                                만남 과 이별을 하였다

 

                                수많은 세월 속에

                                만남과 이별을 반복하며

                                하나를 더하고 빼니

 

                                내 곁에

                                늘 처음처럼 함께하는 것은 오늘이었다.

 

 

 

 

 

 

 

 

 

 

 

  

 

  

 

 

 

 

 

  

 

 

 

 

 

 

 

 

 

 

 

 

 

 

 

 

 

 

 

 

'나의 작품세계 > 양천문학 시화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5회 시화전  (0) 2012.09.04
제4회 시화전  (0) 2011.12.12
제3회 시화전 : 시낭송.1  (0) 2010.10.06
제3회 시화전 1부: 개회식  (0) 2010.10.04
제2회 시화전: 2부-시낭송.2  (0) 2009.11.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