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수도권

내 영혼을 불암산에 묻고

 

내 영혼을 불암산에 묻고

2008년 4월 10일

 

                                            도봉산 정상과 북한산


훈풍에 묻어온 봄볕이 따사로워 구름 한 점 없이 해맑은 불암산 정상.

도봉산과 북한산의 암봉들이 우리의 마음을 사로잡으며 빽빽이 들어찬 마들 평야의 아파트촌이 시원하게 펼쳐진다. 오늘도 무사히 수락지맥의 종주를 마감한다는 안도감으로 장엄하게 솟아오른 수락산을 바라본다.

 

                                                           불암산 정상


중이 모자를 쓴 부처의 형상이라 하여 필암산(筆巖山) 또는 천보산(天寶山)이라 부르는 불암산(佛巖山). 커다란 화강암 덩어리가 수백 척의 단애를 이룬다. 정상에는 태극기가 휘날리고 로프가 걸려있는 벼랑길은 잠시도 방심할 수없는 아슬아슬한 구간이다. 별 의심 없이 내려딛는 순간 발이 미끄러지며 몸이균형을 잃고 만다.

 

                                                        수락산 정상


억!

단말마의 비명소리와 함께 상체가 기울어지며 로프를 잡은 손이 밀리기 시작한다.  순간적인 본능으로 로프를 부여잡고 두 다리로 버텨 보지만 미끄러지는 탄력을 감당하기에는 역부족이다.  왼쪽 허벅지가 바위에 스치고 3m 남짓한 벼랑을 미끄러지며, 두 다리가 땅에 닿는 순간 허리에 심한 통증이 온다.

 

 

천둥번개가 내려치는 일진광풍속에 뜨거운 불기둥이 허리를 빠져나가며, 심한 오한과 함께 전신에 힘이 쭉 빠진다. 얼마의 시간이 흘렀을가? 바위 잔등에 널 부러지진 몸을 추스르기 위해 손을 뻗어 보는 것조차 겁이 나서 살그머니 눈을 떠보니 하늘이 빙빙 돌고있다.

 

 

아! 이제는 병신이 되고 마는구나.

겁도 없이 왼 산을 헤집고 다니던 객기도 이것으로 끝이 나고 불구의 몸으로 살아야 한다는 생각만으로도 모골이 송연하다. 오른손을 들어보니 별 통증이 없고, 왼손 또한 큰 무리가 없다. 새로운 용기를 갖고 오른 다리를 흔들어 보고 왼다리를 흔들어 보지만, 심한 부상이 아닌 듯 싶어 바위 잔등을 부여잡고 일어서 본다.

 

 

신기하기 그지없는 몸 상태를 바라보며 한 바퀴 돌아보지만 큰 부상이 아니라는 확신으로 긴 한숨을 내쉰다. 타박상을 입은 왼쪽 허벅지와 허리가 뻐근하지만 보행에는 큰 어려움이 없어 보인다. 안도의 한숨을 내쉬며 주위를 살펴보아도 멀리 떨어진 등산객들은 내가 당한 아찔한 순간을 보지 못한 듯. 희희 낙락 즐거운 담소를 나누고 있다.

 

                                               마들평야의 아파트 숲


3m를 미끄러지는 짧은 순간이지만 어찌나 용을 썼는지 반 장갑을 낀 손마디가 로프에 미끄러지며 시커멓게 타들어갔다.  그래도 긴급 구조의 힘을 빌리지 않고 하산할 수 있다는 생각만으로도 감사할 따름이다.

 

또 다시 아득하게 내려다보이는 벼랑길. 평소라면 수월하게 오르내리는 만만한 길이지만 30여m의 로프가 끝을 모르는 늪지대처럼 바위 잔등에 걸려있다. 되돌아 설수 없는 기로에서 두 다리가 후들거리고 오금이 저려 온다.

 

                                              월남 쌈  - 퇴원 전야제의 희트 작품


마의 구간을 어찌 내려왔는 지 온몸이 후들거리고 등허리에서 진땀이 비오듯 쏟아진다. 위험한 고비를 넘겼다는 안도감 때문인지  왼쪽 허벅지와 허리에 심한 통증이 온다. 아직도 갈길이 멀어 당고개역까지 1km가 넘는다. 내려딛는 걸음마다 고통의 연속이다. 

 

 

당고개역에서 창동역으로 도봉산역에서 회룡역으로 짧은 거리를 수 없이 환승하며 집에 돌아온다. 아내에게 내색도 못한 채  샤워를 하고 침대에 누워보지만 천근만근 늘어지는 몸을 운신 할 수가 없어 신음소리가 절로난다. 사색이 된 아내의 부축으로 조카가 운영하는 한방병원에서 응급치료를 하지만 심상치 않은 부상으로  겁이 덜컥 나기 시작한다.

 

 

삼일동안의 한방 치료에도 별 차도가 없어 정형외과에서 M. R. I 촬영을 한 후에야 요추 제1번 압박골절이라는 진단을 받고 부랴부랴 병원에 입원을 한다. 환자복에 허리를 지탱하는 압박대를 두루고 왼팔에 꽂아 놓은 수액주사 지지대를 밀며 화장실을 오가는 내 몰골이 한심 스럽다.

 

700여산을 오르던 패기는 간곳이 없고 축늘어진 어께에 환자복을 걸친나약한 모습에서  나이는 숫자에 불과 하다며 당당하던 그 모습을 찾을 길이 없다. 순간적인 방심이 큰 재앙을 불러오고 말았으니  매사에 조심해야 한다는 교훈을 백번 강조해도 지나침이 없다.

 

                                                   신 극홍 씨


가로수의 앙상하던 가지에도  연록색의 잎들이 다투어 피어나는 등산하기 좋은 계절을    2주간의 입원과 한 달간의 통원치료, 두 달간의 물리치료가 필요하다는 진단이다. 요추의 골절된 부분이 아 물때 까지 절대 안정이 필요하다는 의사 선생님의 말씀이 큰 복음으로 전해온다.  

 

언제 또 산을 찾을 수 있을지,  아니면 영영 가슴속에 묻어두고 가슴앓이를 해야만 할지 마음속이 무거운 저울추를 올려놓은듯 답답하다. 하지만 쨍하고 해뜰날을 기대하며 오늘도 열심히 재활치료에 열중하고 있다.

  

                                                                   북한산 등산중에 부상한 이성용 씨

 

 

 

 

'수도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릉산을 찾아서  (0) 2008.07.22
무의도 여행길  (0) 2008.06.13
한남정맥 마지막 구간  (0) 2008.03.09
절반을 알바한 오두지맥 3 구간  (0) 2008.02.17
한북정맥을 졸업하는날  (0) 2008.02.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