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나의 작품세계/바람과 구름이 머무는곳

1. 전 문

 


    

                 김     완   묵

                    호 :  풍운아


                          충주 출생

                          문학공간 등단(수필)

                          한국 산악 문학회 시산 동인

                          양 천 문학회 회원


                          현  샤르망 안경원 운영



                          경기도 의정부시 호원동 우성 아파트

                          303동 1206호

                          전화 : 031-875-9306, 011-9922-9306

                       E-mail: ouanmoook@hanmail.net

 



 

 

 

 

 

 

 

 

 

 

 

 

 

 

 

 

 

 

 

 

 

 

 

 

 

 

 

 

 

 

 

 


 


        머  리  말


                아 름 다 운  誘 惑


         해방둥이로 태어나 유년기에 6.25를 보내고 가난의 질

         곡속에서 보릿고개를 헤쳐 나오기 위한 몸부림으로 청

         소년기를 지나 오직 잘 살아보자는 신념으로 앞만 보고

         걸어온 인생.......

         덧없는 세월 속에 반백의 중년이 되어 비록 허리띠를

         졸라매는 가난은 면했지만 되돌아보는 뒤안길은  무미

         건조한 삶의 연속이었습니다.

         허무와 회의로  고독이 여울져 오는 길목에서 어머니의

         품속 같이 포근하게 감싸주는 산의 유혹에 이끌려 삭막

         하던 가슴에 꽃을 피우고 십오 년간 350여 산을 오르

         내리며 습작으로 끄적인 글들이 마침내 시 산 으로 햇

         볕을 보고  문학공간으로 등단을 하여 수필가로 첫 걸

         음 마를 하게 되었으니....

         벅찬 감회와 감동으로 제2의 인생을 열어가며 비록 어

         눌한 글들이지만 책으로 묶어 세상에 선 보이게 되니,

         수험생의 초조한 심정으로 기도를 드리고 있습니다.

         인간은 홀로 살아갈 수 없듯이 한평생 천직으로 살아온

         생활의 터전을 정리하고 황량한 벌판 위에서 방황하고

         있을 때  두 손 내밀어 감싸 안는 아우 연묵이 의 형제애

         는 목마른 대지에 단비를 뿌리고,  집안의 대소사를 챙

         기며 산으로만 달려가는 남편에게 불평 한마디 없이 새

         벽같이 일어나 도시락을 건네주는 아내 선화의 따뜻한

         손길은 백만 원군이  되어 거친 토양 위에 꽃을 피우는

         원동력이 되었습니다.

         일일이 열거하지는 못하지만 물심양면으로 도움을 주신

         모든 분들에게  또한 심심한 사의를 표합니다.


                        갑신년 해 저무는 들녘에서

                                              풍운아  완 묵

 

 

 

 


          차   례


              제 1 장 둥지를 날아오른 새


          작은 동산에서.........................................................26

          고향으로 가는 길....................................................27

          명성황후의 눈물.....................................................32

          시산회의 정기산행..................................................36

          태백산의 신년맞이..................................................39

          문학공간 제 170회 수필부문 추천신인 심사평.......43

          수필 당선소감.........................................................44

          당선작품 - 보길도 격자봉에 올라서.......................45

          당선 작품 - 충북 알프스 구병산을 가다................49

          야생화의 천국 - 금대봉, 대덕산.............................52

          용마산에서 시산제를...............................................57

          송년산행 - 금대산에 올라서...................................60

          300산의 발자취.......................................................64


 

 


         제 2 장  높새바람 불어오는 대간 길


          봄이 오는 길목에서.................................................70

          불타는 서북능선......................................................71

          다시 찾은 공룡능선.................................................77

          남설악 신선대..........................................................82

          심설 덕유산 산행.....................................................86

          조봉에 올라..............................................................91

          삼신봉의 신기루.......................................................94

          눈길 따라 민주지산..................................................98

          소백산 대 종주.......................................................102

          눈 속을 헤치며.......................................................109

          함백산에 핀 설화....................................................112

          지리산 당일 종주....................................................116



 

 


             제 3 장 : 뱃길 따라 삼천리


        민초들의 삶...........................................................130

          성인봉에 올라서.....................................................131

          효녀의 섬 백령도...................................................138

          수반위에 핀 사량도................................................145

          한라산의 눈꽃 축제................................................149

          남해의 비경 거문도와 백도....................................155

          보라카이 해변........................................................160


 

 


             제 4 장 : 정맥 길  기맥 길


          나 홀로 가는 길....................................................168

          한북정맥을 시작하며 - 복주산.............................169

          한북정맥 6구간 -노고산.......................................172

          한북정맥 7구간 -임꺽정봉...................................178

          한북정맥 8구간 -도봉산을 넘어서.......................183

          한강기맥을 찾아서................................................190

          한강기맥(농다치-비슬고개 ).................................196

          한강기맥(비슬고개-신당고개)...............................202

          한강기맥(신당고개-상창봉리)...............................206

          한강기맥(상창봉리-새목이고개)............................211

          한남 금북 그 정점에서.........................................217

          도일봉 중원산 종주길...........................................222

          중미산 정상에서...................................................226


 

 


            제 5 장 : 신바람 나는 하이워킹


          중량천의 새 아침................................................232

          아름다운 한강 걸어서 백리길.............................233

          양재천과 탄천의 만남은 학여울에서...................241

          우산속의 한강 아름다워라..................................246

          호반위에 떠 오른 오봉산......................................250

          여기도 용아장성 빗속을 가다...............................253

          키나바루에는 불로초가 있었네.............................257

          황산에 부는 바람..................................................263

          10년만의 외출......................................................269

          사랑하는 아들아...................................................272

          내소사 가는 길.....................................................278

          겨울 산.................................................................279

          두위봉의 철쭉......................................................280

          쉰 길 폭포............................................................281

          해설-시조시인  김 은남.......................................282

             (산악문학의 새로운 지평을 열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