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작품세계/강진원 문학

두문동(杜門洞) 72현(賢)

김완묵 2016. 9. 7. 03:45

두문동(杜門洞) 72()

 

,,,,,,,,,,,,,,,,,,,,,,,,,,,,,,,,,,,,,,,,,,,,,,,,,,,,,,,,,,,,,,,,,,,,,,,,,,,,,,,,,,,,,,,,,,,,,,,,,,,,,,,,,,,,,,,,,,,,,,,,,,,,,,,,,,,,,,,,,,,,,,,

- 두문동 72현은 공자의 제자 72명을 참고한 것이다.

- 두문동은 1392년 조선 개국 후에 지정된 것이 아니고, 360년이 지난 1751(영조 27)에 고려 충신 72명에게 제사를 지내고, ()를 세운 것이 시초이다.

- 1783(정조 7)에 송상현(宋象賢)김연광(金鍊光)유극량(劉克良)을 배향하던 숭절사(崇節 祠)72인을 배향하였다.

- 또 정조 때에 개성의 성균관에 표절사(表節祠)를 세워 배향하였다.

................................................................................................................................................,

* 명단은 전고대방(典故大方)(국립중앙도서관[2513-416]) 4, [고려 두문동 칠십이인(高麗杜門洞七十二人)]기우집(騎牛集)2, 附錄, [두문동 칠십이현록(杜門洞七十二賢錄)]을 참고함.(후대에 작성되어서 자료마다 명단이 차이가 나고, 몇 명은 조선조에 출사를 하였음.)

* 내용은 여조충렬록(麗朝忠烈錄)(국립중앙도서관[2510-79])을 참고함.

 

...............................................................................................................................................

  典故大方   騎牛集 본관 부 문과 연계 생원 연계 진사 연계

...............................................................................................................................................

1 우현보(禹玄寶) 단양(丹陽) 우길생(禹吉生) 공민왕(恭愍王) 4(1355) 을미(乙未) 을미방(乙未榜) 병과(丙科) 3   

1 정몽주(鄭夢周) 영일(迎日) 공민왕(恭愍王) 9(1360) 경자(庚子) 경자방(庚子榜) 을과(乙科) 1[壯元] 공민왕(恭愍王) 6(1357) 정유(丁酉) 진사시(進士試) 진사(進士) 1(一等) 3

2 조의생(曺義生) 10 조의생(曺義生) 창녕(昌寧)  

3 이존오(李存吾) 경주(慶州) 이길상(李吉祥) 공민왕(恭愍王) 9(1360) 경자(庚子) 경자방(庚子榜) 동진사(同進士) 8

3 임선미(林先味) 8 임선미(林先味) 평택(平澤) 임중연(林仲沇)      

4 정추(鄭樞) 청주(淸州) 정포(鄭誧) 공민왕(恭愍王) 2(1353) 계사(癸巳) 계사방(癸巳榜) 동진사(同進士) 14   

4 고천상(高天祥) 개성(開城)  

5 전귀생(田貴生) 담양(潭陽) 전희경(田希慶)

6 이숭인(李崇仁) 성주(星州) 이원구(李元具) 공민왕(恭愍王) 11(1362) 임인(壬寅) 임인방(壬寅榜) 병과(丙科) 2위 공민왕(恭愍王) 9(1360) 경자(庚子) 진사시(進士試)

7 이맹예(李孟藝) 옹진(甕津)        

8 유순(柳洵)  

9 전조생(田祖生)  담양(潭陽) 전희경(田希慶)  

10 조승숙(趙承肅) 함안(咸安) 조경(趙璥) 우왕(禑王) 3(1377) 정사(丁巳) 정사방(丁巳榜) 동진사(同進士) 5   

11 채귀하(蔡貴河) 72 채귀하(蔡貴河) 인천(仁川) 채원길(蔡元吉)

11 맹유(孟裕) 온양(溫陽)  

12 서보(徐輔)  이천(利川)

12 도응(都膺) 성주(星州)        

13 변숙(邊肅) 40 변숙(邊肅)

13 이사지(李思之) 경산(京山)

14 도동명(陶東明)      

14 박심(朴諶) 면천(沔川)        

15 신안(申晏) 평산(平山)

16 박녕(朴寧) 문의(文義)  

16 장안세(張安世) 인동(仁同) 장균(張均)    

17 정광(程廣)       

17 김충한(金冲漢) 57 김충한(金冲漢) 경주(慶州) 김서인(金瑞仁)      

18 고천우(高天祐) 개성(開城)        

18 국유(鞠襦) 담양(潭陽) 국량(鞠樑)

19 서중보(徐仲輔)              

19 한철충(韓哲沖) 평산(平山) 한희적(韓希迪) 공민왕(恭愍王) 2(1353) 계사(癸巳) 계사방(癸巳榜) 동진사(同進士) 7   

20 나천서(羅天瑞)  

20 조안경(趙安卿) 함안(咸安) 조인계(趙仁啓)

21 이색(李穡) 23 이색(李穡) 한산(韓山) 이곡(李穀) 공민왕(恭愍王) 2(1353) 계사(癸巳) 계사방(癸巳榜) 을과(乙科) 1[壯元] 충혜왕(忠惠王) 2(1341) 신사(辛巳) 진사시(進士試) 진사(進士) 2(二等)

21 성부(成溥) 창녕(昌寧) 성사달(成士達) 우왕(禑王) 9(1383) 계해(癸亥) 계해방(癸亥榜) 병과(丙科) 4   

22 이명성(李明成) 공주(公州)  

22 이유(李裕)

23 조견(趙狷) 66 조윤(趙胤) 평양(平壤) 조덕유(趙德裕) 우왕(禑王) 99년 미상(未詳) 시년미상(未詳)    

24 허금(許錦) 양천(陽川) 허경(許絅) 공민왕(恭愍王) 6(1357) 정유(丁酉) 정유방(丁酉榜) 병과(丙科) 5   

24 정지(鄭地) 나주(羅州)

25 이수인(李守仁)  

25 하자종(河自宗) 진양(晉陽) 하윤원(河允源)

26 정희(鄭熙) 하동(河東) 정태보(鄭台輔) 우왕(禑王) 2(1376) 병진(丙辰) 병진방(丙辰榜) 동진사(同進士) 3위 우왕(禑王) 2(1376) 병진(丙辰) 진사시(進士試) 진사(進士) 1(一等) 1[壯元]  

27 김진양(金震陽) 경주(慶州) 공민왕(恭愍王) 20(1371) 신해(辛亥) 신해방(辛亥榜) 동진  27 길재(吉再) 6 길재(吉再) 해평(海平) 길원진(吉元進) 우왕(禑王) 12(1386) 병인(丙寅) 병인방(丙寅榜) 동진사(同進士) 6위 공민왕(恭愍王) 23(1374) 갑인(甲寅) 생원시(生員試) 우왕(禑王) 9(1383) 계해(癸亥) 진사시(進士試)

28 원천석(元天錫) 9 원천석(元天錫) 원주(原州) 원윤적(元允迪) 공민왕(恭愍王) 9(1360) 경자(庚子) 진사시(進士試)

28 안성(安省) 광주(廣州) 안기(安器) 우왕(禑王) 6(1380) 경신(庚申) 경신방(庚申榜) 동진사(同進士) 17   

29 김주(金澍) 2 김주(金澍) 선산(善山) 김원로(金元老)      

30 최양(崔瀁) 5 최양(崔瀁) 전주(全州) 최지(崔贄) 우왕(禑王) 2(1376) 병진(丙辰) 병진방(丙辰榜) 동진사(同進士) 9   

30 조충숙(趙忠肅) 함안(咸安)

31 허징(許徵)

31 전오륜(全五倫)  정선(旌善) 전분(全賁)      

32 조홍(趙洪)  

33 김자수(金自粹) 15 김자수(金自粹) 경주(慶州) 김오(金珸) 공민왕(恭愍王) 23(1374) 갑인(甲寅) 갑인방(甲寅榜) 을과(乙科) 1[壯元]   

34 이사경(李思敬) 29 이사경(李思敬) 전의(全義) 이광익(李光翊)      

35 이수생(李遂生)        

35 맹희덕(孟希德)  

36 김약시(金若時) 67 김약시(金若時) 광산(光山) 김정(金鼎) 우왕(禑王) 9(1383) 계해(癸亥) 계해방(癸亥榜) 동진사(同進士) 5   

36 김약항(金若恒) 광산(光山) 김정(金鼎) 공민왕(恭愍王) 20(1371) 신해(辛亥) 신해방(辛亥榜) 동진사(同進士) 10   

37 남을진(南乙珍) 7 남을진(南乙珍) 의령(宜寧) 남천로(南天路)    

38 이행(李行) 39 이행(李行) 여주(驪州) 이천백(李天白) 공민왕(恭愍王) 20(1371) 신해(辛亥) 신해방(辛亥榜) 병과(丙科) 5   

39 이약(李瀹)    

40 이양중(李養中) 26 이양중(李養中)          

41 김광치(金光致) 낙성(洛城)        

41 서견(徐甄) 33 서견(徐甄) 이천(利川) 서찬(徐瓚) 공민왕(恭愍王) 18(1369) 기유(己酉) 기유방(己酉榜) 병과(丙科) 5   

42 이종학(李種學) 한산(韓山) 이색(李穡) 우왕(禑王) 2(1376) 병진(丙辰) 병진방(丙辰榜) 동진사(同進士) 17위 공민왕(恭愍王) 23(1374) 갑인(甲寅) 생원시(生員試)  

42 임탁(林卓) 나주(羅州)        

43 김육비(金六庇)              

44 변구수(邊貴壽) 장연(長淵)  

44 민유(閔楡)             

45 문익점(文益漸) 단성(丹城) 문숙선(文叔宣) 공민왕(恭愍王) 9(1360) 경자(庚子) 경자방(庚子榜) 병과(丙科) 4   

45 안종약(安從約) 순흥(順興) 창왕(昌王) 즉위년(1388) 무진(戊辰) 무진방(戊辰榜) 동진사(同進士) 18   

46 김준(金俊)  우왕(禑王) 8(1382) 임술(壬戌) 임술방(壬戌榜) 후방(後牓) 18   

46 임귀연(林貴椽) 나주(羅州)  

47 윤륙(尹陸)              

47 조희직(曹希直)    

48 박침(朴忱) 밀양(密陽)             

48 김사렴(金士廉) 안동(安東)        

49 김승길(金承吉)          

49 배상지(裵尙志) 37 배상지(裵尙志) 흥해(興海) 배전(裵佺)

50 구홍(具鴻) 54 구홍(具鴻) 능성(綾城) 구위(具褘)  

50 조유(趙瑜) 순창(淳昌) 조원길(趙元吉)

51 김제(金濟) 선산(善山) 김원로(金元老)      

51 이유인(李唯仁

52 박문수(朴門壽) 59 박문수(朴門壽)

52 조철산(趙鐵山)                  

53 범세동(范世東) 금성(錦城) 범후춘(范後春)

53 이석지(李釋之) 38 이석지(李釋之) 영천(永川)   충목왕(忠穆王) 3(1347) 정해(丁亥) 정해방(丁亥榜) 병과(丙科) 3   

54 성사제(成思齊) 56 성사제(成思齊) 창녕(昌寧)        

55 민보(閔普)

55 윤충보(尹忠輔) 무송(茂松) 윤식(尹湜)

56 임즐(林騭)              

57 차원부(車元頫) 64 차원부(車元頫) 연안(延安)    

58 유구(柳玽) 진주(晉州) 유혜방(柳惠芳) 공민왕(恭愍王) 9(1360) 경자(庚子) 경자방(庚子榜) 동진사(同進士) 20   

58 최문한(崔文漢) 32 최문한(崔文漢) 강릉(江陵)

59 신석(申釋)                

60 신자악(申自嶽)              

61 김위(金瑋)                            

61 채왕택(蔡王澤)  

62 민안부(閔安富) 60 민안부(閔安富) 여흥(驪興) 민유(閔孺)      

62 송교(宋皎)                    

63 신덕린(申德隣) 34 신덕린(申德隣) 고령(高靈) 신사경(申思敬) 충목왕(忠穆王) ?년 미상(未詳) 시년 미상(未詳)    

63 최칠석(崔七夕) 전주(全州) 최선능(崔善能)      

64 신포시(申包翅) 고령(高靈) 신덕린(申德隣) 우왕(禑王) 9(1383) 계해(癸亥) 계해방(癸亥榜) 동진사(同進士) 12위 우왕(禑王) 3(1377) 정사(丁巳) 진사시(進士試) 진사(進士) 3(三等) 6

65 김자진(金子進) 광산(光山)        

65 박의중(朴宜中) 밀양(密陽) 박인기(朴仁杞) 공민왕(恭愍王) 11(1362) 임인(壬寅) 임인방(壬寅榜) 을과(乙科) 1[壯元]    

66 이양소(李陽昭) 43 이양소(李陽昭) 순천(順天)            

67 박태시(朴太始)              

68 정온(鄭溫) 진양(晉陽) 정석(鄭碩)      

68 이경(李瓊)  

69 이연(李涓)  

70 송인(宋寅)

70 길인적(吉仁迪)

71 곽추(郭樞) 공민왕(恭愍王) 9(1360) 경자(庚子) 경자방(庚子榜) 동진사(同進士) 12 71 신이(申彛)

7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