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작품세계/강진원 문학

조선 역사연표 주요 총괄 목록

김완묵 2016. 9. 7. 03:11

조선 역사연표 주요 총괄 목록

 

 

13932월 국호를 조선으로 바꿈.

139410월 한양천도(漢陽遷都)

13988월 제1차 왕자의 난 일어남, 정도전, 남은 등 죽임을 당함

13989월 태조, 방과(芳果)에게 왕위를 물려줌(定宗)

14001월 제2차 왕자의 난 발생 [15세기]

140011월 정종, 방원(芳遠)에게 왕위를 물려줌(太宗)

14017월 신문고(申聞鼓)설치

14063월 선교양종이 사사(寺社) 242개만 남기고 나머지는 없앰. 사찰의 토지와 노비 를 제한하고, 나머지는 몰수함.

1414년 경기좌우도를 경기도로 개편 : 전국 8도 체제가 완성됨.

14168월 승려들에게 도첩을 지급함 : (度牒制)

14203월 집현전(集賢殿)을 설치함

14252월 처음으로 동전을 사용

14254월 저화 사용을 금지하고 동전만 사용하도록 함

1429년 정초(鄭招) 농사직설(農事直說)편찬함

14346월 장영실(蔣渶實), 자격루(自擊漏 : 물시계. 시간이 되면 종을 침)를 만듦.

이 해, 동북면에 6(六鎭) 설치

14432월 계해조약(癸亥條約)체결 : 통신사(通信使)가 쓰시마 도주와 세견선(歲遣船) 50척으로 정함.

144312월 훈민정음(訓民正音) 창제

14454월 정인지(鄭麟趾), 권제(權踶) , 용비어천가(龍飛御天歌)10권을 편찬하여 올림.

14469월 훈민정음 반포

14477월인천강지곡(月印千江之曲)완성. 안견(安堅)몽유도원도그림.

14522월 김종서 등 고려사절요편찬 : 연대순으로 정리한 고려 역사책.

14525월 단종(端宗) 즉위.

1455년 윤6월 단종, 수양대군(世祖)에게 왕위를 물려주고, 상왕(上王)이 됨.

14566월 성삼문, 박팽년 등이 상왕의 복위를 도모하다 처형됨 (死六臣).

14576월 단종을 노산군(魯山君)으로 강등하여 영월에 유배, 10월 영월에서

노산군(단종)사망.

146311월 홍문관(弘文館) 설치.

14675월 이시애 난(李施愛亂) 발생.

146810월 남이(南怡), 반역죄로 처형됨.

147011경국대전(經國大典)교정(校訂) 완성됨.

147812월 서거정(徐居正), 동문선(東文選) 편찬함.

14828월 폐비 윤씨(廢妃 尹氏)에게 사약을 내림.

14987월 무오사화(戊午士禍) 발생, 10월 김종직(金宗直)의 문집을 모아 불태움.

150410월 갑자사화(甲子士禍) 발생. [16세기]

15069월 중종반정 : 박원종(朴元宗) , 왕을 폐하고 晋城大君을 왕으로 옹립(中宗). 폐왕을 연산군(燕山君)에 봉함.

15104월 삼포왜란(三浦倭亂) 발생.

15128월 임신조약(壬申條約) 체결.

15176월 축성사(築城司)를 비변사(備邊司)로 개칭.

151712월 기묘사화(己卯士禍) 발생

15194월 조광조의 건의에 따라 현량과(賢良科) 실시.

152212월 소격서(昭格署)를 설치 : 도교 의식에 따라 하늘에 제사지내는 기관 조광조 등이 소격서는 이단이며, 하늘에 지내는 제사는 천자만 할 수 있다고 주장하 여 1518년 폐지. 이때 부활되었다가 선조대에 다시 폐지됨.

15308월 이행(李荇),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편찬 : 조선 전기 지리 지의 완성본. 백과사전식으로 지방의 정치,경제,역사,행정,사회,민속,인물 등 을 기록하고, 각 도의 지도도 수록함.

15394월 영조문(迎詔門)을 영은문(迎恩門)으로 개칭 : 명나라 사신이 머무는 모화관(慕 華館) 앞의 문 이름을 명나라가 영은문으로 바꿀 것을 요구. 1896년 사대의 상징이라 하여 영은문을 헐고 그 자리에 독립문을 세움.

1543년 풍기군수 주세붕(周世鵬) 백운동서원 건립 : 서원(書院)의 시초.

15458월 을사사화(乙巳士禍) 발생.

15472월 정미약조(丁未約條) 체결.

15502월 풍기군수 이황의 요청에 따라 백운동서원에 소수서원(紹修書院)의 편액이 하사됨

15555월 을묘왜변(乙卯倭變) 일어남.

15593월 임꺽정의 난(林巨正亂) 발생.

1572년 이이와 성흔(成渾) 사이에 사단 칠정(四端七情)논쟁 시작됨(-1578)

15757월 동서분당(東西分黨).

1580년 정철(鄭澈) 관동별곡(關東別曲)을 지음.

158910월 정여립 모반 사건(鄭汝立謀反事件) 발생.

15903월 황윤길(黃允吉), 김성일(金誠一)을 일본에 통신사로 파견. 이 무렵, 동인이 남 인(南人)과 북인(北人)으로 나뉨.

15924월 임진왜란 발발, 선조 한성을 떠나 피난길에 오름.

15925월 사천 해전에서 거북선을 처음으로 사용.

15926월 일본군, 진주성 공격, 논개(論介) 사망.

15927월 곽재우(郭再祐)가 경상도 의령, 현풍, 영산 등지에서 왜군 격파.

15928월 금산 전투에서 조헌과 영규의 의병 전산(七百義塚).

159210월 진주대첩(晉州大捷).

15932월 행주대첩(幸州大捷) : 함경, 평안도의 일본군, 한성으로 퇴각.

15942월 훈련도감(訓練都監) 설치.

15971월 정유재란(丁酉再亂) 발발.

159811월 노량 해전 : 이순신 함대, 일본 수군을 대파시킴. 이순신(李舜臣) 전사.

16054월 유정(惟政), 일본에서 포로 3000여 명을 데리고 돌아옴. [17세기]

1607년 허균(許筠)홍길동전을 지음.

16082월 광해군(光海君) 즉위. 이 해 경기도에 대동법(大同法)을 실시함.

16108월 허준(許浚), 동의보감(東醫寶鑑)을 완성함.

16181월 인목대비의 호를 삭탈하고 서궁(西宮)이라 칭함.

16193월 명()에 보낸 원군 패배, 도원수 강홍립(姜弘立)은 금에 항복.

16233월 인조반정 발생 : 이귀(李貴)를 비롯한 서인이 광해군(光海君)을 쫓아내고 인 조(仁祖)를 추대함.

162612월 병자호란(丙子胡亂) 발발.

16271월 정묘호란(丁卯胡亂) 일어남.

16362월 후금이 보낸 국서를 받지 않고 거절함.

1652년 효종 북벌정책(北伐政策) 본격적으로 추진

16538월 네덜란드인 하멜(Hamel, H) 일행의 제주도 표착이 보고됨 : 1666년 탈출하 여 하멜표류기를 씀.

16543월 제1차 나선정벌(羅禪征伐).

16595월 제1차 예송논쟁(禮訟論爭).

16742월 제2차 예송논쟁(禮訟論爭).

16804월 경신환국(庚申換局)=경신대출척(庚申大黜陟) 남인 축출, 서인이 정권 장악

16834월 서인이 노론과 소론으로 나뉨.

16892월 기사환국(己巳換局) : 세자책봉문제로 노론 실각, 남인 집권.

16896월 송시열(宋時烈), 사약을 받음.

1693년 안용복(安龍福)이 독도에서 일본인을 쫓아내고 울릉도와 독도가 조선의 영토 임을 일본에 확인시킴.

16943월 갑술옥사(甲戌獄事) : 노론이 정권을 잡고 남인은 몰락함.

170110월 장희빈(張禧嬪) 사약을 받음. [18세기]

17125월 백두산정계비(白頭山定界碑)를 세움.

17251월 영조 탕평책 실시

17283월 이인좌의 난(李麟佐 亂) 발생.

17419월 금난전군(禁亂廛權 : 난전(亂廛)을 엄히 금지함)

17507월 균역법(均役法) 실시함.

17606일성록(日省錄)(국왕의 언행과 정사를 기록한 책) 기록 시작(-1910)

세손인 정조가 일기를 쓰면서 시작. 정조 즉위 후 정부의 공식문서로 기록

17625월 사도세자(思悼世子), 뒤주 속에 갇혀 죽음.

17708동국문헌비고(정치, 경제, 문화 등 각종 제도와 문물을 분류하여 설명한 책)

17763월 정조(正祖) 즉위.

17767월 홍국영(洪國禜), 도승지로서 세도를 부림.

17769월 규장각(奎章閣) 설치.

1783년 박지원(朴趾源 열하일기(熱河日記)편찬

1790년 안정복(安鼎福) 동사강목(東史綱目)편찬

1791년 신해통공(辛亥通共) : 금난전권을 폐지함.

1797년 이긍익(李肯翊, 연려실기술(練藜室記述)편찬 : 조선태조부터 숙종 대까지 의 야사를 체계적으로 정리한 역사책.

18019월 황사영 백서 사건(黃嗣永 帛書 事件) 일어남. [19세기]

1805년 안동 김씨의 세도 정치(勢道政治) 시작.

181112월 평안도 농민전쟁(平安道 農民戰爭) 일어남.

1814년 제주도에서 민란 일어남.

1817년 김정희, 북한산비가 진흥왕 순수비임을 밝힘.

18319월 로마 교황청이 천주교 조선 교구를 설치함.

184012월 왕대비, 수렴청정을 거둠. 풍양 조씨의 세도정치가 시작됨.

18467월 김대건(金大建), 순교함.

1848년 이양선(異樣船)이 경상, 전라, 황해, 강원, 함경 등지에 계속 나타남.

1861년 김정호(金正浩)대동여지도(大東輿地圖) 간행함.

18622월 진주 민란 일어남.

186311월 동학교주 최제우(崔濟愚) 체포됨.

186312월 고종(高宗)즉위 : 흥선대원군 이하응(李昰應) 정권 장악.

18643월 동학교주 최제우(崔濟愚), 대구에서 사형 당함.

18644월 서원, 향현사(鄕賢祠) 등에 토지와 재산을 보고하도록 명령 : 대원군의 서원 철폐 정책 시작.

18654월 경복궁 중건(景福宮重建)을 지시.

18661월 병인박해 시작(-3) : 남종삼(南鐘三) 등 천주교 신자 몇 천 명과 프랑스인 베르뉘를 비롯한 9명의 선교사를 처형하고 천주교서적과 판목(版木) 불태움.

18663월 민치록(憫致祿)의 딸을 왕비로 정함(憫妃).

18667월 제너럴셔먼호 사건(General Sherman) 발생.

18669월 병인양요(丙寅洋擾) 발생.

18667월 고종, 경복궁으로 옮김.

18684월 남연군묘(南延君墓) 도굴 사건 발생.

1871년 신미양요(辛未洋擾) 발생.

1873년 최익현, 대원군을 탄핵한 뒤 제주도에 유배됨. 고종, 친정(親政)을 선포. 민씨 일파의 세도 정치 시작됨.

1875년 운양호사건 발생.

18761월 강화에서 조일 수호 회담 열림.

18764월 일본에 수신사(修信使) 파견 : 김기수를 단장으로 76명이 일본의 관청과 공 장을 비롯한 문물을 시찰.

187912월 지석영(池錫永)이 충주 덕산에서 처음으로 40여 명에게 종두법 실시.

18808월 김홍집(金弘集) 청의 황준헌이 저술한 사의조선책략(私擬朝鮮策略)을 왕 에게 바침, 최시형 동경대전(東經大全)간행됨.

18814월 신사유람담(紳士遊覽團) 파견.

18816월 최시형용담유사(龍潭遺詞)간행.

18824월 조. 미 수호통상조약 조언.

18826월 임오군란(壬午軍亂) 발생.

18827월 제물포조약(濟物浦條約) 체결됨.

18828월 민비 환궁.

18828월 박영효가 일본으로 가는 배 안에서 태극기 고안(1883.1.27) 국기로 공식

인정)

188210월 조.중 상민수륙무역장정(朝中商民水陸貿易章程) 조인.

188212월 독일인으로 텐진 주재 독일 영사를 지낸 묄렌도르프(Mollendorff. P.G.von)

를 외교 및 재정 고문으로 초빙.

188310월 박문국, 한성순보(漢城旬報) 발간.

188410월 갑신정변(甲申政變) 발발.

188410월 김옥균을 비롯한 갑신정변 주모자들이 일본으로 망명.

18852월 미국 선교 의사 알렌(Alen. H.N.)세브란스 병원의 전신인 광혜원(廣惠院)

설립.

18853월 거문도 사건(巨文島事件) 발발.

18858월 미국인 선교사 아펜젤러(Appenxeller, H.G)가 최초의 근대식 중고등 교육

기관인 배재학당 설립.

18864월 이화학당(梨花學堂) 설립.

18899월 함경도 감사 조병식(趙秉式)이 함경도에 방곡령(防穀令) 실시.

189211월 동학교도 삼례 집회(參禮集會)를 개최.

18933월 동학교도 보은 집회(報恩集會)를 개최.

18941월 갑오농민전쟁(甲午農民戰爭) 발발. 고부관아 점령.

18943월 농민군, 고부 백산에서 봉기.

18944월 농민군, 황토현에서 관군과 보부상의 연합부대를 물리침.

18946월 일본 측, 조선에 내정 개혁 강요.

18946월 갑오개혁(甲午改革) = 갑오경장(甲午更張) 시작.

18946월 농민군 집강소(執綱所)를 설치하고 폐정 개혁안(廢政改革案)을 실시.

18949월 농민군 2차 봉기(農民軍二次蜂起).

189411월 전봉준(全琫準), 전라도 순창에서 체포됨.

18954월 유길준(兪吉濬), 서유견문록(西遊見聞)간행.

18958월 을미사변(乙未事變) : 명성황후(明星皇后) 죽음.

189511월 단발령(斷髮令)을 내림.

18961월 각지에서 을미의병(乙未義兵) 봉기.

18962월 아관파천(俄館播遷) 발생.

18964월 독립신문(獨立新聞) 창간 : 발행인 서재필(徐載弼).

18978월 연호 광무(光武)로 고침.

189710월 국호를 대한제국(大韓帝國)으로 결정.

189712월 손병희 동학 3대 교주가 됨.

18982월 흥선대원군(興宣大院君) 죽음

18983월 독립협회, 서울 종로에서 대중정치 집회인 만민 공동회 개최 : 열강의 이권 침탈 철회를 주장.

18984월 배재 학당 협성회가 최초의 일간 신문인 <매일신문> 창간.

18985월 서울 종현(鐘峴) 성당(현재의 명동 성당)준공.

18989월 장지연, 남궁억이 <황성신문>을 발행.

189810월 독립협회, 만민공동회 개최 : ‘헌의 6(獻議六條)’를 올림.

189811월 정부, 독립협회의 해산과 주요 인물 검거를 명령함.

189812월 정부, 군대를 동원하여 만민 공동회(萬民共同會)를 해산.

189912<독립신문> 폐간.

19015월 제주도 대정군에서 이재수의 난(李在守 亂) 발생. [20세기]

19018월 국가(國歌) 재정 : 독일인 에케르트 작곡.

190111월 목포 부두 노동자 동맹 파업.

19035월 용암포 사건(龍巖浦事件) 발생.

19042월 한. 일의정서(韓日議定書)체결.

19049월 송병준의 일진회와 이용구의 진보회가 일진회(一進會)로 통합됨.

19057월 가쓰라.태프트 밀약 성립.

19058월 제2차 영·일동맹

19059월 포츠머드 강화 조약

190511월 을사조약(乙巳條約) 체결.

190511월 장지연이 <황성신문>에 시일야방성대곡 발표.

190511월 시종무관장 민영환, 을사조약에 반대하여 자결.

19062월 일제에 의한 통감부(統監府) 설치.

19067월 이인직(李人稙), 신소설 혈의 누를 만세보에 연재하기 시작 : 최초의

신소설. 일본 작품을 표절했다는 의혹을 받음.

19071월 국채보상운동(國債報償運動) 시작됨.

19074월 고종, 헤이그 밀사 파견(이준, 이상설, 이위종)

19077월 이완용, 송병준이 헤이그 밀사 파견을 이유로 고종에게 퇴위를 강요.

19077월 순종(純宗) 즉위.

19077월 한일 신협약(韓日新協約) = 정미7조약 체결

19078월 전국 각지에서 항일의병봉기 : 정미의병(丁未義兵).

190711월 신민회(新民會) 설립.

19071213도 창의군(十三道倡義軍) 결성.

19083월 전명운, 장인환 스티븐스 저격.

190811월 최남선, 최초의 월간 종합지 소년창간 : 최초의 신체시 해에게서 소년 에게발표.

190812월 동양척식주식회사 설립.

190910월 안중근(安重根) 하얼빈 역에서 이토 히로부미 사살.

19104월 주시경(周時經) 국어문법간행.

19104월 이시영, 이동녕, 양기탁이 서간도 요령성 삼원보에 독립 운동을 위한 자치 기관인 경학사(耕學社)와 군사교육기관 신흥강습소 설치.

19108뤟 한일 합병조약 공포됨. 총리대신 이완용이 통감 테라우치 마사타케와 한국

통치권을 일본 왕에게 양도하는 문서에 서명함.

19109월 황현(黃玹) 자결함.

19109<황성신문>, <대한민보> 폐간됨. : <대한매일신보><매일신보>로 고쳐 총 독부 기관지로 삼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