뿌리를 찾아서 - 2-
一 世 士 衡 (사 형) - 익 원 공 二十 代
- 四 子 -
1341년 (충혜왕) - 1407년 (태종7년)
묘소 : 양평군 양서면 목왕리 산 49
配 : 馬韓國 大夫人 竹山 朴氏
익원공 김사형 존영(翼元公 金士衡 尊影)
<영정>
<영정 소개> (2005. 1. 18. 항용(제) 제공)
1. 제작, 봉안 일시 : 2005. 1. 18.
2. 제작자 : 벽해 김송배 화백 (문화관광부 영정심의 문화재 위원인 단국대학교 전통의상학과 박성실 교수의 고증과 자문으로 복원 작업 실시)
3. 제작 추진처 : 안동김씨 익원공파종회
4. 영정 실제 크기 : 가로 105Cm * 세로 150Cm
5. 영정 봉안소 : 익원공파 사무실(서울시 영등포구 대림2동 1057-33호)
6. 영정 표구처 : 인간문화재 김진두의 아들 김권영(문화부 문화재 관리국 표구 기능 등록 제 822호) 표구사
仲 始祖인 忠烈公 할아버지 代에서 權門勢道(권문세도)의 名文家門(명문가문)이 되고 玄孫들이 係派(계파)를 이루었으니 처음에는 21파로 分流(분류)가 되었으나 13파의 子孫들이 現存하고 있으며 文英公(문영공) 할아버지의 子孫들이 가장 繁盛(번성)하여 按廉使公派(안렴사공파). 翼元公派(익원공파). 提學公派(제학공파)의 子孫들이 主流(주류)를 이루고 있다.
난세에 영웅이 난다는 속설대로 우리문중이 천년의 세월을 지나오며 중시조인 충렬공에서 익원공 시대가 가장 융성한 시기로 익원공께서는 고려 충혜왕(1341년)때 태어나서 태종 7년(1407년 7월 30일) 향년 67세 로 돌아가실 때 까지 많은 업적을 남기시며 후손들이 관직에 나아가는 발판을 마련하셨다.
공민왕 9년(1360년)약관 20세에 성균관 문과에 급제하셔서 그 뒤로 개성윤이 되시고 공양왕 2년(1390년)에 밀직사겸 대사헌에 오르시고 1392년 태조 이성계를 도와 이씨 조선을 건국하며 14명의 개국일등 공신 중에 4번째 서열로 문하시랑 찬성사 겸 판상서사사가 되시다.
태조 5년에는 오도병마도처치사에 임명되어 대마도를 원정하여 도주로부터 조공의 약속을 받아 오시고 음양위 상장군으로 일등공신에 녹훈이 되셨다.
1396년 문하 우정승에 올라 6년 동안 봉직하시고 태종1년 좌정승에 오르셨다가 태종 2년에 관직에서 물러나실 때 까지 8년 동안 정승으로 재직하시며 매사에 정중하고 청렴결백하여 안으로는 사람들과 혐의를 진적이 없고 밖으로는 모나게 한 적이 없이 명예와 여색을 멀리하니 관직에 있는 동안 한 번도 탄핵을 받은 적이 없다고 한다.
공의 가장 큰 업적으로는 ? 混一彊理歷代國都之圖?(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를 제작하셨으니 세계의 지리적 지식을 과학적으로 수집, 편집한 세계적인 지도로 그 원본은 미국 워싱턴 국립박물관에 소장되어있고 사본은 일본 京都의 龍谷大學과 島原市 本光寺등에 전해지고 있으며 그 복사본이 서울대 규장각에 소장되어 있다고 한다.
이 지도는 현재 남아 있는 가장 오래된 우리나라의 古地圖일뿐만 아니라 동양에서 가장 오래된 세계지도로 길이가 171㎝, 넓이 164㎝의 대폭 지도로 絹紙(견지)에 그려진 彩色筆寫(채색필사) 지도이다.
태종 2년(1402년)에 좌의정 김사형, 우정승 이무, 이회가 만든 것으로 명나라와 일본 등에서 자료를 수집하고 보완하여 완성을 하였으니 그 업적은 후세에 길이 남을 일이다.
二 世 陞 (승) - 밀직사공 十九 代
- 二 子 -
묘소 : 장단군 판문리 失傳
양평군 양서면 목왕리 익원공 묘 우하 측 설단
配 : 貞夫人 光州 金氏
蔭仕(음사)로 출사하여 1393년 司憲府(사헌부) 中丞(중승)에 제수된 후, 承政院(승정원) 右副承旨(우부승지)로 1395년 3월에 朝鮮開國 原從功臣(조선개국 원종공신) 에 책훈되고 1398년 1월에 中樞院使(중추원사) 同知密直司使-同知中樞院使(동지밀직사사 - 동지중추원사) 겸 都評議司(도평의사)에 이르고 孫子 文靖公의 貴로 議政府 左贊成에 追贈되었다.
三 世 宗 淑 (종 숙) - 동추공 十八 代
1400년(정종 2년)庚辰生 - 1470년(성종 원년) 卒
묘소 : 포천군 내촌면 내리 건지산
配 : 贈 貞敬夫人 慶州 李氏
1487년 (성종) 卒
密直司公 陞의 三子로 嘉善大夫 行同知中樞府使(가선대부 행동지중추부사)을 거쳐 正憲大夫 議政府 贊成(정헌대부 의정부 찬성)을 지낸 아드님인 文靖公 ?(문정공 질)의 貴(귀)로 大匡輔國 崇祿大夫 議政府 領議政 上洛府院君(대광보국 숭록대부 의정부 상살부원군)에 追贈(추중)되었다.
四 世 ( 작 ) - 효소공 十七 代
1427년(세종9년) - 1488(성종19년)
묘소 - 남양주시 진접읍 팔야리
配 : 貞夫人 東來 鄭氏
同樞公 宗淑의 二子로 1447년(세종29년)生員, 1454년(단종2년)에 文蔭(문음)으로 繕工錄事(선공녹사), 典農寺(전농시)의 直長(직장)이 되시고 1458년 通禮院 奉禮郞(통례원봉례랑)으로 승진하시고 1462년 宗簿寺(종부시)의 少尹
소윤이 되셨다. 1477년(성종8년)에 僉正(첨정)으로 式年 文科(식년 문과)에 丙科(병과)로 及第(급제)하는 등 관료 생활을 하면서도 학문에도 힘을 썼다.
承政院9승정원)의 同副承旨(동부승지), 都承旨(도승지), 中樞院(중추원)의 左副承旨(좌부승지), 司諫院(사간원)의 大司諫(대사간)을 두루 역임 하신 후 1482년에 刑曹參議로 이듬해 경기도 觀察使(관찰사)를 거쳐 1484년에 兵曹參判(병조참판), 壽知中樞府使(수지중추부사)를 거쳐 1487년에 자헌대부 刑曹判書(형조판서)에 이르셨다.
효심과 형제간에 우애심도 깊어 서울에서 포천까지 七十여리를 내왕하면서 老母(노모)를 극진히 모시고 관직에서 물러난 뒤에는 後學 英育에힘을 쓰셨다.
五 世 弟 ? (제 함) 十六 代
軍資監(군자감) 奉事(봉사)
- 四 子 -
묘소 - 남양주시 진접읍 팔야리
配 : 令人 仁川李氏
私見(사견): 長子優待(장자우대)의 儒敎思想(유교사상)이 지배하는 李朝時代(이조시대)에서 작은 아들로 태어난 우리 조상님들은 벼슬길이 멀어지고 효소공 형님, 문정공의 子孫들은 乘勝長驅(승승장구)로 名門大家(명문대가)를 이루고 있지만 이 시점을 계기로 우리 선조님들은 官職(관직)의 因緣(인연)이 멀어지다 문정공의 5대손인 김자점의 몰락과 함께 舊 安東(구안동)의 權勢(권세)도 막을 내리고 新 安東(신안동)이 得勢(득세)하는 轉換期(전환기)로 哲宗時代(철종시대)의 安東金氏(안동김씨) 60년 勢道政治(세도정치)도 신안동의 權勢(권세)를 말 함이다.
六 世 泗 ( 사 ) 생 원 十五 代
- 二 子 -
묘소: 충주 주덕읍 사락리 - 선영
配 : 南陽 洪氏
配 : 寧越 嚴氏
七 世 麟 定 (인 정) 진사 十四 代
獨 子 ( 독 자)
贈 (증) 戶曹 (호조) 判書 (판서)
묘소: 충주 주덕읍 사락리 - 선영
配 : 贈 貞夫人 原州 金氏
配 : 贈 貞夫人 昌寧 成氏
八 世 발 -임금왕 변에 필발 (컴퓨터 사전에 없음) 十三 代
以 副司果 ? 寧社勳
仁祖反正(인조반정) 後(후) 贈 左承旨
- 四 子 -
丙寅 生 - 戊辰 8월 17일 卒
묘소 - 충주 주덕읍 사락리 - 선영
配 : 贈 淑夫人 全州 李氏
九 世 翼 龍 (익 룡) 증(贈) 대사헌(大司憲) 十二 代
- 二 子 -
宣祖 丁酉 生 - 丙子 8월 5일 卒
묘소: 충주 주덕읍 사락리 - 선영
配 : 贈 淑夫人 慶州 李氏
辛丑 生 - 癸卯 3월 21일 卒
十 世 壽 長 ( 수 장 ) 十一 代
- 二 子 -
辛未 生 - 乙酉 12월 9일 卒
묘소 - 충주 주덕면 화곡리 - 뒷동산
配 : 全州 李氏
配 : 安東 權氏
丁亥 生 - 己丑 8월 18일 卒
十一 世 載 重 (재 중) 十 代
- 獨 子 -
玄宗朝 癸丑生 - 乙卯 4월1일 卒
묘소 -충주 주덕읍 화곡리 - 뒷동산
配 : 德水 李氏
戊午 生 - 辛丑 3월 26일 卒
十二 世 鏶 ( 집 ) 九 代
- 長 子 -
肅宗朝 乙卯生 - 丙子 10월 26일 卒
묘소 - 충주 주덕읍 화곡리 - 뒷동산
配 : 全義 李氏
辛巳 生 - 乙亥 6월 25일 卒
十三 世 聖 泰 (성 태) 八 代
- 長 子 -
景宗 朝 癸卯 生 - 癸巳 8월 5일 卒
묘소 - 충주 주덕읍 화곡리 - 뒷동산
配 : 全州 李氏
辛丑 生 - 庚戌 4월 22일 卒